
이번 에듀플러스위크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교육에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여러 개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관들이 어떤 맥락으로 AI 활용 교육을 이끌어가려고 하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회사들이 어떤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는지 궁금했어요.
또한, 교실혁명 선도교사로는 아이스크림 미디어만의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다른 출판사의 방향도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자료조사차 AI의 교육적 활용을 중점으로 두고 박람회를 훑고 왔습니다 :)
앞으로 활용할 정보를 조금 기록해두려 합니다.
AI 스피커
*금쪽이 스피커
- 아동 개인의 연령, 심리에 적절한 언어와 대화 제공
- 데이터: 언어 필터링 DB
- ChatGPT-4o 사용
- 스크린 타임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함 - 집중력의 측면 등
- 음성만으로 대화
- 친밀감 형성: 아이들이 직접 얼굴을 그릴 수 있도록 함
영어 AI 코스웨어
- 주로 발음 교정, 문법 교정 등에 초점을 맞춤
*원아워
- 영어 AI 코스웨어
- AI 관련 기능
- AI보조교사
- 콘텐츠 생성
- 단어로 문장 생성: 단어만 입력하면 AI가 난이도별로 문장 생성, 문장 학습과 말하기 연습에 활용
- 문장에서 단어 추출: 문장을 입력하면 AI가 문장에서 난이도별 단어를 자동으로 추출해 학습할 수 있는 단어 제공
- 문제 생성: 본문을 제공하면 AI가 12가지 유형의 퀴즈에 대해 각각 최대 30개의 질문 생성
- 북퀴즈, 이해 문제, True or False, 문법 동의어 등
- 이미지로 문제 생성: 이미지를 넣으면 AI가 난이도별로 이미지에 대해 묻는 질문 생성
- 영상으로 문장 생성: 유튜브의 자막 자동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문장 추출, 일부분만 발췌 가능
- 맞춤형 수업 활동
- 배경지식: 제시된 내용에 대해 AI가 내용을 기반으로 한 배경 지식을 제공
- 문법 분석: 본문을 제시하면 AI가 문장구조와 품사를 자동으로 분석해서 수업 보조 도구로 활용
- AI 이미지로 단어 학습: AI가 생성한 네 개의 이미지를 보고 해당하는 단어를 추론
- 문법 학습: AI 가 문법적 문장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문법 연습 문제 생성
- 페이스 필터 효과를 넣은 더빙 학습: 학생이 더빙 활동으로 스피킹 활동을 할 때 얼굴에 필터를 넣을 수 있음
- 데이터 기반 학습 관리 -> 대시보드에 학습률, 평가 결과 점수, 평가 결과 점수에 대한 AI 분석
- 콘텐츠 생성
- AI 튜터
- AI 피드백 및 제안
- 단어를 활용한 영어 문장 작문 첨삭: 단어 또는 숙어를 활용한 문장 작성 시 AI가 문법 교정, 피드백, 같은 단어를 사용한 대체 문장을 제공
- 해석&문법 및 표현 힌트로 문장 영작 첨삭: 특정 문장에 대해 AI가 제공하는 번역, 문법 힌트, 표현 힌트를 보며 문장을 영작 후 AI에게 문법 교정, 피드백 받기
- 에세이 영작 첨삭: AI가 추천한 에세이 주제에 대해 학생이 에세이를 작성할 수 있으며 AI가 문법, 문장구조, 내용, 어휘, 유창성에 대해 분석 및 평가
- AI 영작 튜터: 영작한 글에 대해 AI분석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음
- 발음 분석: 학생이 녹음을 하면 AI 가 학생의 발음을 분석하여 정확성, 완전성, 억양, 유창성에 대해 평가해줌
- AI 단어 튜터: 수준에 따라 단어 학습이 자동으로 생성, 수행 결과 바탕 어휘 수준 조정
- 수준을 결정하는 기준? 데이터?
- 이 기능 안의 데이터만 활용하는 건지? 아니면 통합된 데이터셋이 있는지?
- AI 피드백 및 제안
- AI보조교사
- EBS AI영작쌤
- 영어 글쓰기 수업용 AI 코스웨어
- 영어 작문 AI 채점 (250가지 항목 자동 첨삭)
- 교사 중심 대시보드
- 실시간 맞춤 학습 리포트: 채점 결과, 학습 시간, 사용한 단어와 문장수를 객관적 데이터로 관리, 분석, 출력
- 영어 글쓰기 수업용 AI 코스웨어
수학
*수학
- 보드게임을 활용한 경우가 많았음
- 자동채점 기능, 오답 분석
- 맞춤형 문제 제공
이외
- AI 마음일기
- 궁금한 점: 분석 시 교육학이나 심리학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는지?
- AR 시뮬레이터
- 협업도구: 꾸럼e
- 학생: 수업에 맞는 주제 내에서 원하는 정보만 빠르게 탐색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마이챗봇&GPT
- GPT를 코딩으로 학습하는 AI 3D게임 교육기반 SW
- 프롬프트를 넣는 부분이 블록 코딩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
- 3D 오브제로 확인하는 챗봇 질문
- VR기기를 통해 작성한 코드로 구성한 객체 및 환경 체험 가능
- GPT를 코딩으로 학습하는 AI 3D게임 교육기반 SW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물창고
-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국가유산을 과정별, 단원별로 큐레이션
- 희귀한 사진을 고화질로 다운로드 받아 쓸 수 있음
- 필요한 기능: AI를 활용한 문화유산에 대한 쉬운 설명, 질의응답
- 문제의식: 일반적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이 너무 어려움
- 교사가 대답해주기 어려운 전문적인 질문을 할 경우가 있음. 이럴 때 웹 상에서도 질문을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음. 찾을 수 있다면?
*세계 유명한 에듀테크 박람회들: ISTE, BETT
이렇게 정리한 결과 인공지능 활용은 현재
- 특정 교과에서 맞춤형 콘텐츠, 피드백 제공을 위함
- 협력학습 등 상황에서의 조력
- 게이미피케이션 도구
등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추후 자기주도적 학습 경로 분석 및 설정 부분, 증강 지능으로서의 역량 향상을 위한 기능,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능 등이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 도구의 대체가 아닌 도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해보입니다.
'CHALLENGE > AI 융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원 원격 연수 “어서와, AI 데이터 리터러시 맛집은 처음이지?” 촬영 (1) | 2023.10.2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