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사실 넥션 디스플레이랑 arduino nano 33 iot 를 굉장히 연결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넥션 라이브러리가 arduino uno 랑 mega만 지원을 한다는 사실을 굉장히 많은 조사 후에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nano 33 iot 는 차치하고(다른 작품이나 다른 부분에서라도 써먹을 수 있으면 써먹을 예정입니다) uno 로 코드를 짰습니다.
그런데... 분명 디스플레이도 멀쩡하고 아두이노도 멀쩡한데 둘이 연결이 안되는 겁니다.
넥션에서 아두이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건 당연하고 아두이노에서 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불가능했습니다.
정말 다양한 예시도 찾아보고 여기저기 커뮤니티에도 도움을 청했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한 곳이 없다는 걸 알아냈습니다.
그래서 설마 설마 하면서 아두이노와 넥션의 코드를 편집하는 에디터와 우노 넥션 라이브러리를 지우고 다시 다운로드 받아 설치했습니다.
그랬더니!! 아래처럼!! 작동하더라구요🤣
여러분도 이것저것해보다가 아무리해도 작동하지 않는다 싶으면, 에디터를 다시 설치해보세요.
(페이스북 그룹인 한국 아두이노 사용자 모임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알게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할 때와 메가를 사용할 때 NexConfig.h 파일을 수정하는 방식이 다름.
아두이노 우노의 경우:
//#define DEBUG_SERIAL_ENABLE
/**
* Define dbSerial for the output of debug messages.
*/
//#define dbSerial Serial
/**
* Define nexSerial for communicate with Nextion touch panel.
*/
#define nexSerial Serial
아두이노 메가의 경우
//#define DEBUG_SERIAL_ENABLE
/**
* Define dbSerial for the output of debug messages.
*/
//#define dbSerial Serial
/**
* Define nexSerial for communicate with Nextion touch panel.
*/
#define nexSerial Serial2
- 넥션과 연결된 아두이노 우노에 파일을 업로드할 때는, RX 선(1번 TX)은 끼워 놓아도 되지만, TX(0번 RX)는 빼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넥션과 아두이노 우노가 시리얼 통신에서 겹치는 부분이 있어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둘 다 낀 채로 우노에 파일을 업로드 버튼을 눌렀을 때, 파일을 컴파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업로드 할 때는 에러가 생기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아쉬운 점은 있습니다.
아두이노 -> 넥션 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가능한데,
넥션 -> 아두이노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다음 작품에서 버튼을 누르면 불이 들어오도록 작동시켜야하는데, 이게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번 벌레는 어디있는 것일까요!!
일단 요정도 마무리하고 앱 개발 부분을 넘어가겠습니다.
그래도 하드웨어랑 소프트웨어를 연결해서 조금 뿌듯합니다.ㅋㅋ
얼른 나무 다듬으러 가야죠!
'MAKING > 우리반 쌤의 똑똑한 메이커 테이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Nano 33 IoT 탐색 (1) | 2020.11.05 |
---|---|
코틀린 공부 + 작업_4 (0) | 2020.11.05 |
Nextion + nano 33 IoT (1) (0) | 2020.10.18 |
Nextion LCD 탐색 (0) | 2020.09.22 |
아두이노 나노 33 IoT 탐색 (0) | 2020.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