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스로 행복을 가꾸는 교육을 꿈꾸다
STUDY/M.Ed.

초등교사의 해외 유학 석사 지원기 - [1] 학교 및 과정 정하기

by FermeH 2025. 3. 26.

교사 중에서도 해외 유학을 준비하시는 분이 있을거라는 생각에 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좀 부끄럽고 부족하지만 그 준비와 지원 과정을 글로 남겨봅니다. :) 

참고로 저는 교육경력 3년 반인 초등교사입니다. 

2021년 9월에 중간 발령을 받아 유학휴직의 최소 조건인 3년을 넘긴 상태입니다.

물론 각자의 맥락에 따라 준비해야함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전체적인 과정이 궁금하다면 해커스 등 학원의 유학설명회/석박사 합격 세미나를 가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료로 개최하기 때문에 신청만 제때 하면 들을 수 있습니다. 보통 3월 중순 쯤하니, 일찍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1. 나의 분야 찾기 

사실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 내가 하고 싶은 분야를 정하는 것입니다. 

저는 관심사가 워낙 다양해서 그 분야를 찾는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이 부분에서의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부 활동으로 일단 하나 탐색해보기: 관련 강의나 세션 등을 들어보고 관심이 가는 내용을 찾습니다. 조금 더 궁금하면 구글 등에 찾아보고, 아니면 아닌대로 넘깁니다. 단, 관심이 가는 것과 가지 않는 것을 모두 기록으로 남겨둡니다. (나중에 도움이 됩니다.) 공문 게시판을 보면 다양한 포럼들이 있습니다. 그 포럼이나 행사에 참여해보는 것도 좋고, 무료로 진행하는 해외 온라인 행사(UNESCO, 여러 학회, 심포지엄, 포럼 등)을 찾아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요즘에는 유튜브에 녹화 형태로도 많이 공유하고 있더라구요. 그 부분을 참고해도 좋습니다. 

2) Google Scholar에서 교수님 중심으로 탐색해보기: 그 내용을 다룬 교수님의 전공이 무엇인지 찾고, 해당 교수님의 논문이나 랩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를 찾아봅니다. 

3) Google Scholar에서 관심 있는 키워드로 탐색해보기: 저는 메이커 교육에도 관심이 많아 메이커 교육을 키워드로도 많이 찾았습니다. 관련해서 요즘 논문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같거나 비슷한 분야를 연구하는 분을 안다면 많이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것을 매우 매우 추천드립니다. 

 

2. 학교 및 학과 찾기 (1차) 

그 다음으로 할일은 학교와 학과를 찾는 것입니다. 

이때부터 저는 노션을 이용해 정리했습니다. 

제가 배우고자 하는 교육 공학은 한국에서와는 달리 미국에서는 상당히 세분화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분야를 다루는 학과를 찾는 데에 시간을 많이 들였습니다. 

지원을 하던 하지 않던, 일단 관련 있는 학과는 모두 찾았습니다. 

 

학과를 처음에 찾았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교수님 중심으로 찾기: 관심 분야가 비슷한 교수님을 찾았다면 해당 교수님의 소속 대학과 학과를 찾습니다. 

2) 시설 중심으로 찾기: 앞서 이야기했듯이 저는 메이커교육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교내 메이커 스페이스가 있는 대학을 찾고 싶었습니다. 특히, 교육대학에서 메이커 스페이스와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는 학교에 가고 싶었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같은 대학이라도 여러 전공 찾아보기 

* 온라인/오프라인 과정인지 확인하기 

대분류 대학 전공
교육 Stanford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MS)
교육 UC Berkeley School of Education (BSE)
Education(M.A.) - Learning sciences and human development
교육 Wisconsin-Madiso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MS)
교육 Wisconsin-Madison
Educational Psychology – Learning Analytics
교육 Northwestern
MSED in learning sciences
교육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Educational studies(MA)- design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across culture and contexts
교육 Columbia University
Instructional Technology & Media (MEd)
교육 Harvard
Learning Design, Innovation, and Technology (LDIT)
교육 Michigan State University
Educational Technology (MA)
교육 New York University
Learning Technology and Experience Design (MA)
교육 Purdue University
•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 (M.Ed.)
교육 MIT
Media arts and sciences (M.Ed.)
교육 University of Washington
Learning Sciences & Human Development (M.Ed.)
교육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 Learning technologies (M.Ed.)stem ls
교육 University of Georgia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 (Research-oriented MEd)
교육 Florida State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in instructional systems and learning technologies
교육 Indiana
Learning and Developmental Sciences (M.Ed.)
교육 Indiana
Instructional systems technology (M.Ed.)
교육 Carnegie Mellon Univers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
데이터사이언스 University of Washington
Master of Science in Data Science

저는 프로그래밍에도 관심이 많아 데이터 사이언스 쪽도 생각은 해보았답니다..ㅎㅎ 

 

3. 학교 및 학과 찾기 (2차) 

이제 지원할 대학원을 확정하기 위해 보다 자세한 조사에 들어갑니다.

 

이때 제가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과 홈페이지에 교수님들 소개가 있습니다. (*좌: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우: Berkeley School of Education)

 

1) 해당 학과의 다른 교수님들 연구 찾아보기: 이게 좀 시간이 걸리는데요, 어차피 나중에 SOP를 쓸 때 중요한 부분이니 한분 한분 눌러  확인해봅니다. 제 연구 방향과 비슷한 분야를 연구하고 계시는 교수님이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저는 교수님들의 최근 연구 내용(scholar의 최신순), 주요 연구 내용(scholar의 인용순), Lab의 존재 유무를 기준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랩의 경우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집약적인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박사 과정도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2) 석사 학위 종류 확인하기: 미국은 석사 학위에 종류가 있습니다. Master of Arts(M.A.), Master of Science(M.S.), Master of Education(M.Ed.)로 세 가지가 있는데요, 특성도 수료 기준도 조금씩 다릅니다. 특히 M.Ed.의 경우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어 학위 논문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저는 찾아볼 때에 이 부분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3) 석사 과정 기간 알아보기: 과정마다 기간도 다릅니다. 크게는 1년짜리, 2년짜리가 있습니다.

4) 학위 수료 기준 확인하기: 학교 별, 프로그램 별로 필수로 이수해야하는 학점이 다릅니다. 

5) 등록금 알아보기: 등록금도 빠질 수 없겠지요..ㅎㅎ 그런데 사실 지원 당시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6) 토플 점수 알아보기: 참고로 저는 재작년(2023년)에 토플 점수와 GRE 점수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GRE 점수는 솔직히 아쉬웠는데, 다행히도 대부분의 대학이 토플 점수만 보았습니다. 이부분도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준에 비추었을 때, 저는 학위 종류는 상관 없었으며 석사 과정 기간도 크게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학위 수료 기준에서는 이수 필수 학점이 너무 적은 경우만 조금 제외했던 것 같습니다. 

 

이에 하나의 방법이 더 있습니다. 그건 바로 우수한 대학을 찾는 방법인데요, 

저는 1) US News ranking (https://www.usnews.com/best-graduate-schools )와 2) 관정 이종환 장학재단의 지원 기준을 참고하였습니다. 

 

그렇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Info는 학과 소개 페이지와 연결되고, Application link는 지원 사이트와 연결됩니다.

 

+ 지원 기간도 서로 다르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12월 초부터 1월 중순까지 펼쳐져 있었습니다.

(저는 그래서 오히려 준비하기 좋았습니다. 하나씩 해치우는 재미가 있었어요.ㅎㅎ)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바로 후회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않게 지원할 수 있는 곳은 모두 해보자! 하는 마음가짐이었습니다. 

 

그래서 추린 대학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대학 전공
Stanford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MS)
UC Berkeley School of Education (BSE)
Education(MA) - Learning sciences and human development
Wisconsin-Madiso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MS)
Northwestern
MSED in learning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Educational studies(MA) - design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across culture and contexts
Columbia University
Instructional Technology & Media (MEd)
Harvard
Learning Design, Innovation, and Technology(MEd)

 

 

다음 글에 이어 적겠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