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목재 탐구를 위해 마포 빌리지(Ma4Village)에 다녀왔습니다!
어제 이것저것 그려보면서
디자인을 확정했습니다. ㅎㅎ
왼쪽의 사진에서 상단에 있는 형태로, 오른쪽 사진과 같은 모양입니다.
오전에는 이에 더불어 LED를 어떻게 합하면 좋을지 고민했습니다.
친절한 지인 분께 도움을 받은 결과, 12V 전원 어댑터에 병렬로 LED스트랩 2개와 아두이노를 연결하고,
아두이노의 5V 전압에 LCD를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미리 목재의 종류를 조금 공부하고 마포 빌리지로 향했습니다.
마포 빌리지는 나무를 주로 다루는 메이커스페이스입니다.
지하에 이렇게 작업 공간이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본 목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니 신기했습니다!
위의 두 사진은 멀바우 라는 나무인데요, 하드우드로 굉장히 딱딱합니다.
다른 나무와 무게를 비교해보라고 들어보라고 하셨는데 정말 무거웠습니다.
딱딱해서 그런지 가공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합니다.
조금 놀랐던 점은, 그렇다고 해서 튼튼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힘이 가해지면 쪼개져 망가지기 때문입니다.
왼쪽의 나무는 스프루스이고, 소프트우드입니다.
오른쪽의 나무는 오동나무이고, 하드우드입니다. 정말 단단했습니다!
나무의 종류는 정말 다양합니다.
절대적으로 좋은 나무, 나쁜 나무는 없습니다.
만드는 작품의 특성에 따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한 나무가 가장 좋은 나무입니다.
그래서 제 작품에도 가장 잘 어울리는 나무를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여러 종류의 나무를 작은 크기로 산 후, 비교 및 시험해보기로 했습니다.
이외에 영상에서 보았던 다양한 도구들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함께 이야기를 하면서 가장 크게 깨달은 점은, 나무는 살아있는 재료라는 점입니다.
(1) 조립하기
물론 못이나 타카 등으로도 나무끼리 고정시킬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부분이 변색되거나 갈라집니다.
나무를 조립할 때 가장 견고한 방법은 나무끼리 끼워맞추는 것입니다.
나무 자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입니다.
(2) 도료 바르기
나무에 후가공을 하기 위해 바르는 것은 크게 스테인, 바니쉬, 페인트 세 가지가 있습니다.
스테인은 나무결을 살리면서 후가공하는 방법입니다.
페인트로 칠을 해버리면, 나무가 숨을 쉬지 못해 결국 갈라지기 마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스테인을 사용합니다.
스테인은 나무에 색을 내고, 변색을 막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리고 가구에 상처가 나도 사포질을 하고 다시 스테인을 바르면 감쪽같이 새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수선이 가능합니다.
스테인에는 오일, 유성, 수성 스테인이 있습니다.
오일 스테인은 가구에 좋습니다. 말리고 바르는 작업을 3-4번 정도 반복합니다.
너무 밝은 색의 나무에 바르면 느낌이 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성 스테인은 냄새가 덜 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테인으로도 오른쪽 사진과 같이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습니다.
리더님께서는 폴리우레탄 성분의 스테인을 주로 쓰신다고 하셨습니다.
나무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주면 나무는 참 오래가는 재료임을 알게되었습니다.
그 모습 그대로 살아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바니쉬는 한 마디로 니스입니다.
한 겹을 더 만들어 나무에 흠집이 잘 나지 않게 합니다.
주로 스테인이나 페인트를 바른 후 마지막 작업에서 사용합니다.
이외에 알게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최악의 경우를 예측하여 준비해야 함
- 내디내만 = 내가 디자인하고 내가 만드는 가구: 목공을 단계별로 배우거나 DIY로 가구를 만들 수 있는 공방
mydiyschool.modoo.at/
앞으로 진행할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LED 위에 올릴 판의 소재 정하기: 전등갓 소재 검색하기
- 방산시장 탐구하기(을지로 5가)
- 다양한 목재 사고 테스트해보면서 목재 정하기
- 다양한 자료 보고 직접 해보면서 도구 사용방법 익히기: 한 번씩 써본 후, 작품을 만들면서 익숙해지기
나무는 냉큼 주문했고, 얼른 배송오기만을 기다립니다!!ㅎㅎ
'MAKING > 우리반 쌤의 똑똑한 메이커 테이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탐구_와이파이 모듈 esp 01 + 목공 탐구_4 (0) | 2020.11.20 |
---|---|
목공 탐구_3 (0) | 2020.11.20 |
목재 탐구_1 (0) | 2020.11.11 |
코틀린 공부 + 작업_5 (0) | 2020.11.10 |
Arduino Nano 33 IoT 탐색 (1) | 2020.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