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스로 행복을 가꾸는 교육을 꿈꾸다

전체 글128

학교가자.com 에 함께해요! #학교가자닷컴(http://초등.학교가자.com, http://중등.학교가자.com)을 아시나요?😊 코로나 19사태로 인해 학교의 개학이 연기되자 대구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손에서 시작된 일일 온라인 교육 플랫폼입니다. 현재는 전국의 많은 선생님들과 함께하고 있어요. 학교가자.com이 구축되는 것을 보면서 아이들을 향한 선생님들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신민철 선생님의 페이스북 게시물을 보면서 참여하시는 모든 분들이 정말 대단하시다고 생각했습니다.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일텐데 아이들을 향한 마음으로 열정적으로 진행하시는 모습이 정말(x100) 멋있었어요. 자료 생성, 사이트 업로드 게다가 유튜브 라이브까지! 그러다 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로 뛰어 들었습니다. 다행히도 현재의 .. 2020. 3. 15.
아두이노랑 서킷이랑 4 오늘은 3D 프린터에 500g 짜리 필라멘트가 아닌 1kg 짜리 필라멘트를 달았더니 필라멘트가 잘 들어가지 않아서 한참 고생하다가 만들기를 시작했습니다. ㅋㅋ 어떻게 할까 이래 저래 고민하는 사이에 가벼워졌나 봅니다. 이제 슬슬 잘 들어가네요! 그래도 옆에 맞춤형 뚜껑을 닫아야 조금 조용해질 것 같아 뚜껑을 만들고 있습니다. https://www.thingiverse.com/thing:3184595/files thingiverse 에서 이것을 찾아 열심히 뽑고 있는 중입니다. ㅎㅎ 어쨌든, 오늘 놀았던 내용을 나누어 보겠습니다! 이런 저런 테스트 먼저 LED의 빛의 세기를 가변 저항으로 조절하는 것 먼저 해보았습니다. 조명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인데, 한참 조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한번 구현해보자.. 2020. 3. 11.
아두이노랑 서킷이랑 3-2 지난 시간에 이어 RC카를 분해해보려 합니다. 목적은 다시 정상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방 정리 및 가족 여행을 마치고 이제서야 다시 책상에 앉았습니다 ㅠㅠ 코로나 때문에 해외 여행을 국내 여행으로 튼 것이 조금 아쉬웠네요... 각설하고, 다시 아두이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회로를 만들기는 했으나 작동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난번에 참고한 블로그의 회로도와 아두이노 코드를 제가 만든 것과 비교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몇 개의 점퍼선이 잘못 연결되어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바교해보면서 조립한 결과 기어가 돌아갔습니다! 야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t enablePin1 = 3; int in1Pin = 6; int in2Pin = 5; int enablePin2 = 10.. 2020. 2. 26.
3D 프린팅 세계 입성 어제 다은님께 받은 3D프린터를 오픈했습니다.. 역사적인 날이에요! 모델은 flashforge adventure 3입니다. 다루기 쉬운 것으로 주셔서 설정하고 바로 간단하게 뽑을 수 있었어요. 먼저 다양한 유튜브 영상을 보며 공부를 좀 하구요 ㅎㅎ https://docs.google.com/document/d/1RadxTDVuEC8qm26YfGBkAcIHNlzGr4x1hleru1vDgRY/edit?usp=sharing 3D프린터 사용법 3D 모델링 - 파일 - 슬라이싱 - 슬라이싱된 파일 - 출력 *Flashforge 3D printer 챔버형: 사방이 막혀있음 전원 연결 후 z 축을 위로 이동시키기 - 종이 뺴기 앞쪽에 문이 달렸다 안에를 들여다볼 수 있고 조작하는 터치 스크린, 한글 메뉴 있음 오른쪽.. 2020. 2. 21.
아두이노랑 서킷이랑 3-1 이사를 끝내고 돌아왔습니다.. 기숙사에 1년 정도 살았더니 생각보다 짐이 많았어요.ㅠㅠ 그래도 명예롭게 떠날 수 있어 다행입니다. :) 어쨌든 오늘은 다시 아두이노를 갖고 놀아볼까 합니다. 오늘은 이 RC카를 해킹해보려고 합니다. 받을 때 전선이 잘못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니 다시 연결해야한다고 하셔서 일단은 받은 그 연결 상태를 서킷으로 재현해보고자 했습니다. 그런데! 아두이노에 조립된 논리회로가 SN754410NE 라는 것이었습니다. 서킷에는 없었죠 ㅠㅠ 그래서 서킷을 둘러보던 차, 모터 드라이버를 위한 논리회로를 '전원제어'에서 찾았습니다. 그리고 구글링을 통해 둘의 input과 output의 위치를 비교해보니 두 논리회로의 구조가 같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싸! 그래서 구현에 들어갑니다 ㅎ.. 2020. 2. 16.
아두이노랑 서킷이랑 2 오늘은 LCD 를 연결하기를 시도했습니다. 서킷에 예제가 있어서 보고 따라해보려 했는데요, 이 녀석이 이 녀석이랑 같은지가 알 수 없어서 다른 예제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 중 제가 갖고 있는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사용한 예제를 찾아 따라해 보았어요. 그런데 연결이 되지 않았습니다. 하핫... 저번처럼 점프선이 문제인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점프선을 빼었다가 끼면 LCD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연결을 해도 LCD 에 불이 들어올 뿐 문구가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LCD의 각 포트가 의미하는 것을 찾아 보았어요. 그래도 문제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ㅠㅠ 그래서 서킷으로 같은 회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서킷의 예제를 참고해서 비교해 본 결과 문제를 하나 찾을 수 있었습니다. - 저.. 2020.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