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스로 행복을 가꾸는 교육을 꿈꾸다

분류 전체보기128

[4~5주차] 소중한 우리, 소리 프로젝트 2차 지난 기록에 이어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기록합니다. 12~13차시 (미술) : 3D 펜 사용법 익히기 3D펜으로 이름표를 만들기 전에 3D펜의 사용법을 익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교실에서 조사를 해보니 3~4명의 학생만 사용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한 시간은 교실에서 펜의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사용한 자료는 다음 자료입니다.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Vui9-XcljxnFYNTWbotAnR_b6y9XtlAJh5SdlcuopiM/edit?usp=sharing 09 소리 프로젝트 - 사용법 docs.google.com 먼저 사용방법을 알려준 다음에, 하나씩 가져가서 실물로 익혀보도록 했습니다.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 참 좋을텐데, 콘센트가 부족하여 실과실.. 2022. 4. 3.
[2~3주차] 소중한 우리, 소리 프로젝트 1차 작년에 학생들에게 받은 교원능력 평가 내용 중에 좋은 말들도 있었지만 수업이 너무 교과서 중심이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갑작스레 발령을 받아 일단은 교과서를 따라서 한 학기 수업을 했는데, 사실 저도 재미가 없었습니다. ㅋㅋ 아이들의 표정에서도 지루함이 보였어요. 그래서 올해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려 합니다. 사실 프로젝트 수업을 기획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번에 훌륭한 수업을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을 스스로 잘 알고 있었습니다. ㅋㅋ 그래서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융합하여 기획하고 있습니다. 1) 일단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관련 단원을 배우는 식으로 만들었습니다. 2) 그 다음에는 다른 선생님들께서 만드신 프로젝트를 변형하여 저만의 프로젝트.. 2022. 3. 20.
[1주차] 만나서 반가워, 우리반 :) 2022.3.2.수 - 3.5.금 작년에 이어 올해도 (다행히) 지원했던 대로 6학년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1학기는 처음인 신규인지라, 3월 2일 첫날, 첫주가 정말 진짜 매우 걱정되었습니다. 새롭게 기기도 사용해보고 싶고, 적용해보고 싶은 시스템들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름대로 준비를 한다고 했지만 부족해서 집에 와서도 늦은 밤까지 계속 준비했어요. 그래도 금요일에 집에 갈 때 즐겁고 기대된다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을 보니 뿌듯했습니다. 올해는 소통용으로는 하이클래스, 학습용으로는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합니다. 학급에는 17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10명은 남학생, 7명은 여학생입니다. 그 3일의 활동을 공유합니다. D+1 3.2.수 1교시: 선생님 소개 2교시: 삼각대 만들기, 나와 같다면 게임 3교.. 2022. 3. 5.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인증기 ver2022 Google Certified Educator 자격증을 딴 지도 어언 7년째.. 드디어 학교에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 마침 저희 학교가 아직 내부 파일 서버를 쓰고 있었고, 교감 교장님께서도 흔쾌히 허락해주셔서 만들게 되었습니다. 2022 버전의 구축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STEP 1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신청하기 https://edu.google.com/intl/ALL_kr/products/workspace-for-education/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개요 | Google for Education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을 사용하면 학교 공동체에서 단순하고 유연하며 안전한 .. 2022. 2. 26.
미리캔버스로 뒷게시판 현수막 디자인하기 지난 학기에 다른 반 선생님께서 교실 뒷게시판을 현수막으로 꾸민 것을 보았습니다. 알고보니 선생님들 사이에서 아주 널리 사용하는 게시판 꾸미기 방법이었어요. 그런 바람직한 치트키를 저도 이번에 사용해보고자 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메이커교육과 스마트교육 등을 교실에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위의 이미지는 임용 고시를 준비하고 고민했던 교실 공간입니다. 공간이 만든 공간이라는 책을 읽으며 공간이 개인의 사고방식과 정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통감했습니다. 교실을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면서도 즐거움이 있는 만들기 공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 일환으로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선 공유 공간으로서 뒷게시판을 알차게 활용하고 싶었습니다. 마침 동학년 선생님께서 디자인만 하면 현수막을 만들어주신다고.. 2022. 2. 26.
새 업무를 위한 모니터 받침대 올해 업무를 그동안 많이 이론으로 배워왔던 AI 교육과 메이커 교육을 맡게 되었습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어떤 실무들이 이루어지고 있을지 배워보고 싶어 지원하였고, 다행히도 그 일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컴퓨터를 많이 쓰게 될 것 같더군요! 모니터 받침대가 생각났는데, 사려고 보니 예쁜 것은 또 그만큼 값이 나갔습니다. 그래서 생각난김에 마포 빌리지에 가서 모니터 받침대를 만들었습니다. ㅎㅎ 먼저 모니터의 가로 및 받침대 치수를 재었습니다. 그리고 가는 동안 휴대폰으로 간단히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이것이 주 모니터를 받쳐줄 첫번째 받침대입니다. 주 모니터는 정면에 두고 사용합니다. 그래서 일부러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 상품을 찾다가 다리가 사다리꼴 모양인 것을 찾았는데요, 그것이 예뻐보여 비슷.. 2022. 2. 17.
LEGO Spike Prime을 이용한 AI 교육 (직무연수) 2022.02.12. 토 10:00 - 16:00 용산 전자랜드 신관 4층 핸즈온 캠퍼스 오늘은 레고를 활용해 AI 작품을 만드는 연수를 듣고 왔습니다. AI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실제로 이루어지는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것인지 궁금하여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레고는 어렸을 때부터 많이 좋아했기도 하고요. :) 사실 프로그램을 탐색하는 측면에서는 Spike Essential을 사용하는 코스를 듣고 싶었는데, 이미 인원이 차버려서 심화과정인 Spike Prime을 듣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들어가자마자 있는 교육장인줄 알았는데, 핸즈 온 내부에 교실이 따로 있었습니다. 교육은 이곳에서 진행되었고, 강현웅 핸즈온 대표님께서 직접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연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Spike.. 2022. 2. 12.
Miniature Life Seoul 미니어처 라이프 서울 2021.10.30(토) - 2022.01.09(일) 12월 17일 방문 동생과 함께 여의도 ifc 몰에 간 김에 수능이 끝난 동생에게 문화 생활을 시켜주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즉석에서 들어간 전시였는데요, 이 전시는 타나카 타츠야 라는 일본 작가의 작품들이었습니다. 생각보다 알차고 '관점'의 측면에서 수업 거리도 많아서 적어둡니다. 6학년 수업에서는 관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국어에서는 글쓴이의 관점을 파악하는 활동을 하고, 사회나 도덕에서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알아보고 생각하고 이해하는 활동을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 전시가 더욱 인상 깊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전기전자와 관련된 발상들이 더 눈에 들어왔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그쪽으로 책을 쓰고 있어서 .. 2022. 1. 22.
2021 천체망원경 활용(심화) 직무연수 천체망원경 활용(심화) 직무연수 2021.11.1.월 ~ 11.5. 금 조금 학교에 적응하고 집필하던 책을 마무리할 때 즈음에 나름의 쉬는 시간을 가지기 위해 천체 망원경 심화 직무 연수를 신청하였습니다. 천문대를 갔던 추억이 새록 새록 떠오르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 덕분에 부쩍 밤하늘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이왕이면 별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어 신청하였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나이가 들면 천문학을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보니 인기가 많은 연수라 몇 번씩 떨어졌던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운이 좋았습니다. :) 이 연수는 천체망원경을 직접 다루고 천체망원경으로 사진을 찍는 방법을 배우는 실습 위주의 연수입니다.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에서 수요일을 제외한 4일간 총 15시.. 2022. 1. 21.